크루제이루 E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루제이루 EC는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벨루오리존치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1921년 이탈리아계 이주민에 의해 소시에타 스포르치바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으며,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구단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60~70년대 황금기를 거치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우승,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4회 우승 등 다수의 우승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명문 클럽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루제이루 이스포르치 클루비 - 미네이랑
미네이랑은 브라질 벨루오리존치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1965년 개장하여 FIFA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를 개최했으며,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유명 아티스트들의 콘서트도 열린다.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구단 - SE 파우메이라스
SE 파우메이라스는 1914년 이탈리아계 브라질인에 의해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구단 - 상파울루 FC
상파울루 FC는 1930년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다수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특히 1990년대 텔레 산타나 감독 체제 하에 전성기를 누렸다. - 1921년 설립된 축구단 - PFC 리텍스 로베치
PFC 리텍스 로베치는 불가리아 로베치를 연고로 1996년 이후 리텍스로 개명하여 네 차례의 1부 리그와 컵 우승을 달성했으나, 구단주 교체와 리그 퇴출 후 3부 리그를 거쳐 2부 리그로 승격, 2024년 FC 로베치로 팀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21년 설립된 축구단 - SC 브라가
SC 브라가는 1919년 창단된 포르투갈 축구 클럽으로, 붉은색 셔츠와 흰색 소매의 유니폼을 사용하며 UEFA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UEFA 인터토토컵 우승, UEFA 유로파 리그 준우승, 타사 다 리가 및 타사 드 포르투갈 우승을 차지했으며, 비토리아 SC와의 미뉴 더비가 유명하다.
크루제이루 E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크루제이루 |
![]() | |
풀 네임 | Cruzeiro Esporte Clube |
별칭 | A Raposa (여우) Celeste (파랑) La Bestia Negra (검은 괴물) |
설립 연도 | 1921년 1월 2일 (Palestra Itália로 설립) |
홈 구장 | 미네이랑 |
수용 인원 | 61,846명 |
소유 | 호나우두 (90%) |
회장 | 세르지오 산토스 로드리게스 |
감독 | 파울로 페솔라노 |
대륙 | CONMEBOL |
연고지 | 벨루오리존치 |
리그 | 브라질레이랑 세리이 A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
시즌 | 2022 |
순위 | 세리이 B 1위 (승격) 미네이루 2위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2. 1. 초창기 (1920~1950년대)
미나스제라이스주 벨루오리존치의 이탈리아계 이주민들에 의해 크루제이루 이스포르치 클루비가 창단되었다. 이는 상파울루의 이탈리아계 이주민들이 창단한 SE 파우메이라스와 비슷한 경우였다. 1921년 1월 2일 창단 당시 구단의 명칭은 *소시에타 스포르치바 팔레스트라 이탈리아*였으며, 미나스제라이스주의 3대 팀이었던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아메리카 미네이루, 얄리를 견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창단 회의에는 95명의 창립자들이 모여 구단의 상징색과 엠블럼 등을 구상하였다. 초기 상징색은 이탈리아 삼색인 초록색, 흰색, 붉은색이었으며, 이탈리아계 선수만 입단이 가능했다.SS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는 이탈리아계 지역 사회에서 빠르게 성장하였다.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는 부유층 위주였던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나 아메리카 미네이루와 달리 벨루오리존치의 노동자 계급을 위한 구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1925년 이탈리아 순혈주의 규정이 삭제되기 전까지, 타 구단보다 해당 규정이 오래 유지되었다.

1921년 4월 3일 이스타지우 프라두 미네이루에서 팔레스트라 이탈리아의 역사적인 첫 경기가 펼쳐졌으며, 상대는 노바 리마의 축구단 연합팀이었다. 공식적인 첫 경기는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와의 경기였으며, 3-0으로 승리했다.
1942년 1월, 제2차 세계 대전에 브라질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면서 브라질 내 이탈리아를 연상시키는 구단명은 강제 개명 요구를 받았다.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는 *소시에다지 이스포르치바 팔레스트라 미네이루*로 구단명을 교체했다. 6개월 후, 구단 명칭에 대한 논의가 다시 시작되었고, 얄리, 이피랑가 등의 이름이 제의되었으나, 최종적으로 '''크루제이루 이스포르치 클루비'''가 선택되었다. 브라질의 국기에 사용되는 남십자자리를 구단의 새로운 상징으로 선택하고, 구단의 상징색도 파란색으로 변경하였다. 파란색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브라질의 국기에 모두 사용되는 색상이었다. 1943년까지 구단의 공식 명칭은 *팔레스트라 미네이루*였으며, 그 이후부터 *크루제이루*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2. 2. 황금기 (1960~1970년대)
1965년 미네이랑이 개장하면서, 크루제이루는 구단 역사상 가장 빛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구단은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서 5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였다. 1966년에는 브라질 전국구 선수권 대회이자, 당시 브라질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고 있었던 타사 브라질에서 펠레의 산투스 FC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대회 결승전 1차전은 미네이랑에서 펼쳐졌으며, 크루제이루의 6-2 승리로 끝이났고, 2차전에서도 3-2 승리를 거두었다. 1971년 브라질 전국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74 시즌에는 CR 바스쿠 다 가마의 뒤를 이어 2위를 기록하였다. 바로 다음 시즌에도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197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아르헨티나의 리버 플라테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남미 선수권 대회 최종 우승의 영광을 누렸다. 뒤이어 1976년 인터콘티넨털컵에 참여하였으나, FC 바이에른 뮌헨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197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보카 주니어스에 이어 대회 준우승을 하였다.2. 3. 침체기와 부활 (1980~2010년대)
1960~70년대의 영광을 뒤로 한채,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크루제이루는 침체기에 빠졌다. 몇몇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우승을 제외하고는, 이렇다 할 우승이 없었다. 1984년에는 전국리그 33위를 기록하며, 역사상 최악의 기록을 세웠다. 뒤이어 1985년에도 29위에 머무르며, 좋지 않은 성적을 연속으로 기록하였다. 1980년대는 크루제이루가 역사상 유일하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한번도 참여하지 못한 유일한 시대이다.1990년대에 들어서 크루제이루는 부활의 날갯짓을 시작하였다. 구단은 매해마다 트로피를 한개씩 추가해 나가며, 그 위상을 복원하는 데에 힘썼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3 시즌은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시즌으로, 승점 100점과 100점 이상 득점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한 시즌이었다. 이는 크루제이루 뿐만이 아니라 브라질의 여느 구단보다도 뛰어난 성적으로 우승한 기록이었다. 또한 크루제이루는 그 해에 코파 두 브라질과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브라질 국내 대회 3관왕을 차지하였다.
2003년이 지나고 2012년까지 크루제이루는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서 4회 우승을 한 것을 제외하고 마땅한 우승 트로피 없이 보냈으나, 꾸준하게 상위권을 유지하였다. 그 결과 2008, 2009, 2010, 2011년 4년 연속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여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200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시즌에는 결승전에도 올랐으나, 아르헨티나의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에게 2-1로 패하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1 시즌에 크루제이루는 갑작스런 위기를 맞이하며, 강등 경쟁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마지막 라운드에 숙명의 라이벌인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를 6-1로 대파하면서 기적적으로 잔류에 성공하는 드라마를 쓰기도 하였다. 전국 리그 2012 시즌에는 예년보다 조금 나아진 성적표를 들었고, 2013 시즌에는 우승을 차지하며, 무너졌던 명예를 되찾았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4 시즌에 또다시 우승을 차지하며 브라질 역사상 리우데자네이루주와 상파울루주를 연고로 하지 않은 구단 중 최초로 전국 리그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 구단이 되었다. 또한 같은 해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서 무패 우승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2. 4. 최근 역사 (2010년대~현재)
1990년대에 들어서 크루제이루는 매해마다 트로피를 한 개씩 추가하며 위상을 복원해 나갔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3 시즌은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업적인 승점 100점과 100득점 이상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하였고, 코파 두 브라질과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서도 우승하며 브라질 국내 대회 3관왕을 달성했다.2003년부터 2012년까지 크루제이루는 캄페오나투 미네이루에서 4회 우승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우승 트로피가 없었으나,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여 2008, 2009, 2010, 2011 4년 연속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여했다. 200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아르헨티나의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에게 2-1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1 시즌에는 강등 경쟁을 겪었으나, 마지막 라운드에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를 6-1로 대파하고 잔류에 성공했다. 2012 시즌에는 성적이 다소 나아졌고, 2013 시즌과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14 시즌에 연속으로 우승하며 리우데자네이루주와 상파울루주를 연고로 하지 않은 구단 중 최초로 전국 리그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2014 시즌에는 무패 우승을 달성하였다.
3. 상징
크루제이루가 SS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을 당시, 구단의 상징색은 이탈리아의 국기의 삼색으로부터 유래된 초록색, 흰색, 붉은색이었다. 이 색 조합 때문에, 구단은 ''앵무새''(periquitopt)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구단의 초창기 앰블럼은 마름모꼴로 형성되었고, 상단이 초록색이며 하단이 붉은색 그리고 중앙의 원이 흰색으로 이루어져있었다. 가운데 글자는 ''팔레스트라 이탈리아''(Palestra Italia)의 머리 글자인 P와 I를 본 따 합성한 문양이다.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에 브라질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면서, 이탈리아와 연관된 모든 것이 변경되었다. 구단의 상징색 또한 이탈리아의 국기와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변경이 불가피하였고, 상징색을 파란색으로 교체하였다.
이 후로 크루제이루의 앰블럼 또한 변경되어야 했는데, 1950년 초안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푸른색 계열의 단순한 원형 모양의 앰블럼이었다. 가운데에 남십자자리를 추가하고, 세부 사항을 조율한 뒤 정식 앰블럼으로 발표되었다.
1959년 앰블럼의 흰색 테두리에 적혀 있던 ''-CRUZEIRO ESPORTE CLUBE-BELO HORIZONTE''문구가 파란색으로 변경되었고, 이는 1996년까지 사용되며 구단 역사상 가장 오래동안 사용된 앰블럼이었다. 1996년 ''BELO HORIZONTE'' 문구가 삭제되었고, 2006년에는 2003년의 영광스러운 시절을 기념하기 위해 앰블럼 상단에 왕관을 추가하였다.
3. 1. 엠블럼
크루제이루가 SS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을 당시, 구단의 상징색은 이탈리아의 국기의 삼색으로부터 유래된 초록색, 흰색, 붉은색이었다. 이 색 조합 때문에, 구단은 ''앵무새''(periquitopt)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구단의 초창기 앰블럼은 마름모꼴로 형성되었고, 상단이 초록색이며 하단이 붉은색 그리고 중앙의 원이 흰색으로 이루어져있었다. 가운데 글자는 ''팔레스트라 이탈리아''(Palestra Italia)의 머리 글자인 P와 I를 본 따 합성한 문양이다.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에 브라질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면서, 이탈리아와 연관된 모든 것이 변경되었다. 구단의 상징색 또한 이탈리아의 국기와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변경이 불가피하였고, 상징색을 파란색으로 교체하였다.
이 후로 크루제이루의 앰블럼 또한 변경되어야 했는데, 1950년 초안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푸른색 계열의 단순한 원형 모양의 앰블럼이었다. 가운데에 남십자자리를 추가하고, 세부 사항을 조율한 뒤 정식 앰블럼으로 발표되었다.
1959년 앰블럼의 흰색 테두리에 적혀 있던 ''-CRUZEIRO ESPORTE CLUBE-BELO HORIZONTE''문구가 파란색으로 변경되었고, 이는 1996년까지 사용되며 구단 역사상 가장 오래동안 사용된 앰블럼이었다. 1996년 ''BELO HORIZONTE'' 문구가 삭제되었고, 2006년에는 2003년의 영광스러운 시절을 기념하기 위해 앰블럼 상단에 왕관을 추가하였다.
3. 2. 유니폼
크루제이루가 SS 팔레스트라 이탈리아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을 당시, 구단의 상징색은 초록색이었다. 홈 유니폼은 짙은 녹색 상의와 흰색 하의 그리고 녹색 스타킹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28년 녹색의 명도가 조금 더 높아졌으며, 흰색과 붉은색의 세부 요소가 추가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이탈리아의 국기의 삼색으로부터 유래된 것이었다. 이 색 조합 때문에, 구단은 ''앵무새''(periquitopt)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1942년 제2차 세계 대전에 브라질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면서, 이탈리아와 연관된 모든 것이 변경되었다. 구단의 상징색 또한 이탈리아의 국기와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변경이 불가피하였고, 상징색을 파란색으로 교체하였다.
3. 3. 응원가
자디르 암브로시우에 의해 만들어진 ''이누 앙 캄페앙''(Hino ao Campeãopt)은 크루제이루 EC의 공식 응원가이다. 이 곡은 구단의 공식 응원가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팬들의 큰 사랑을 받으면서 공식 응원가로 선정되었다.
4. 경기장
크루제이루 EC는 미네이랑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5. 선수단
5. 1. 현재 선수 명단 (2023년 11월 7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파비우 데이비종 로페스 | 브라질 |
2 | DF | 이제키에우 자신투 지 비아시 | 브라질 |
3 | DF | 레오나르두 헤낭 시몽이스 | 브라질 |
5 | MF | 아리엘 카브랄 | 아르헨티나 |
6 | DF | 이지지우 페헤이라 주니오르 | 브라질 |
7 | FW | 하파에우 소비스 | 브라질 |
8 | MF | 엔히키 파셰쿠 리마 | 브라질 |
12 | GK | 하파에우 피레스 몬테이루 | 브라질 |
14 | FW | 주지방 플로르 다 시우바 | 브라질 |
15 | FW | 하파에우 마르케스 마리아누 | 브라질 |
18 | MF | 알렉시스 메시도로 (보카 주니어스에서 임대) | 아르헨티나 |
19 | MF | 호브종 마이클 시뇨리니 | 브라질 |
20 | MF | 브루누 세자르 페헤이라 | 브라질 |
21 | DF | 존 레논 시우바 | 브라질 |
25 | DF | 마르셀루 에르미스 (SL 벤피카에서 임대) | 브라질 |
28 | DF | 호드리구 주니오르 파울라 | 브라질 |
32 | DF | 아르투르 엔히키 비에이라 | 브라질 |
34 | MF | 루카스 지 소우자 | 브라질 |
35 | DF | 무릴루 세르케이라 | 브라질 |
36 | FW | 하니에우 산타나 | 브라질 |
37 | GK | 루카스 올리베이라 지 프랑사 | 브라질 |
70 | MF | 하파에우 다 시우바 | 브라질 |
99 | FW | 루이스 히카르두 아우베스 | 브라질 |
GK | 비토르 이우지스 | 브라질 | |
DF | 이지우종 멘지스 | 브라질 | |
DF | 빅토르 루이스 | 브라질 | |
FW | 다비드 코헤아 다 폰세카 | 브라질 |
6. 역대 감독
wikitable
감독 | 임기 |
---|---|
자이르 페헤이라 | 1987 |
자이르 페헤이라 | 1992 |
자이르 페헤이라 | 1995 |
네우시뉴 바프치스타 | 1997 |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 2000 ~ 2001 |
오즈와우두 지 올리베이라 | 2006 |
도리바우 주니오르 | 2007 |
아지우송 지아스 바치스타 | 2008 ~ 2010 |
파울루 벤투 | 2016 |
아지우송 지아스 바치스타 | 2019 ~ 2020 |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 2020 ~ 2021 |
7. 우승 기록
크루제이루 EC는 여러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브라질의 명문 축구 클럽이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 우승 2회: 1976, 1997
- '''코파 수다메리카나'''
- * 우승 2회: 1991, 1992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 우승 1회: 1998
-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 * 우승 1회: 1994
- '''코파 지 오루'''
- * 우승 1회: 1995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 * 우승 4회: 1966, 2003, 2013, 2014
- '''코파 두 브라지우'''
- * 우승 6회: 1993, 1996, 2000, 2003, 2017, 2018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
- * 우승 1회: 2022
- '''코파 술미나스'''
- * 우승 2회: 2001, 2002
- '''코파 센트루오에스치'''
- * 우승 1회: 1999
-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 * 우승 37회: 1926, 1928, 1929, 1930, 1940, 1943, 1944, 1945, 1956, 1959,1960, 1961, 1965, 1966, 1967, 1968, 1969, 1972, 1973, 1974, 1975, 1977, 1984, 1987, 1990, 1992, 1994, 1996, 1997, 1998, 2003, 2004, 2006, 2008, 2009, 2011, 2014
- '''코파 두스 캄페옹이스 미네이로스'''
- * 우승 2회: 1991, 1999
- '''수페르캄페오나투 미네이루'''
- * 우승 1회: 2002
- '''타사 미나스제라이스'''
- * 우승 5회: 1973, 1982, 1983, 1984, 1985
- '''캄페오나투 미네이루 개막 토너먼트'''
- * 우승 10회: 1926, 1927, 1929, 1938, 1940, 1941, 1943, 1944, 1948,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